개요
현재 tomcat과 apache 2가지로 로컬 서버를 여는데에는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아직은 저의 localhost에서만 접근 가능하기에
다른 ip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주겠습니다.
해당 글은 Apache 서버를 예로 들고 있습니다.
Apache를 설치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면 다음 글을 확인해 주세요.
https://junhere.tistory.com/23
[서버만들기] 리눅스 php, apache 설치
개요 리눅스 우분투를 설치한 후 php, apache 설치해 서버를 만들어보겠습니다. 만약 우분투 설치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다음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https://junhere.tistory.com/15 [서버만들기] 부팅 USB를
junhere.tistory.com
구현
1. 공개 IP 주소 확인
서버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IP 주소를
갖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서버가 내부 네트워크 (예: 사무실, 집) 안에 있을 경우,
공유기 등을 통해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설정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공개 IP 주소는 다음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url ifconfig.me
2. 포트 포워딩 설정
내부 네트워크에 서버가 위치해 있고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에서
서버의 특정 서비스 (예: 웹 서버)에 접근하려면 공유기에서 포트 포워딩을 설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웹 서버는 80번(HTTP) 포트와 443번(HTTPS) 포트를 사용합니다.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서 이러한 포트들을 서버의 내부 IP 주소로 포워딩해야 합니다.
포트포워딩은 다음 글을 참조해 주세요.
https://junhere.tistory.com/25
[서버만들기] 포트포워딩 (iptime)
개요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을 외부 인터넷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하려면 공유기를 사용해 포트포워딩을 해야합니다. 저는 iptime 공유기를 사용해서 포트포워딩 하도록 하겠습니다.
junhere.tistory.com
3. 방화벽 설정
서버가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외부 접근을 허용하도록 방화벽 규칙을 조정해야 합니다.
Ubuntu에서 UFW(Uncomplicated Firewall)를 사용하는 경우, HTTP와 HTTPS포트를
열어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sudo ufw allow 80/tcp
sudo ufw allow 443/tcp
sudo ufw reload
4. 서버 설정 확인
서버의 웹 서버 설정이 모든 요청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Apache 서버의 경우,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파일이나
해당 설정 파일에서 'Listen 80'과 같은 줄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러한 설정을 마치면, 서버가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접근 가능해야 합니다.
설정 후에는 변경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웹 서버를 재시작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sudo systemctl restart apache2
테스트
포트포워딩을 마치고 apache를 재시작했다면
이제 핸드폰 데이터 연결과 같이 다른 IP를 사용해
아까 얻은 공개 IP 주소로 접근해 봅니다. 나의 서버 localhost와
같은 창이 나타난다면 성공입니다.
'Server > Create a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만들기] 포트 포워딩 (iptime) (0) | 2024.04.21 |
---|---|
[서버만들기] 리눅스 php, apache 설치 (0) | 2024.04.20 |
[서버만들기] 리눅스 jdk , tomcat 설치 (1) | 2024.03.22 |
[서버만들기] 부팅 USB를 사용해 리눅스 설치 (우분투 설치) ( 2 / 2 ) (1) | 2024.03.22 |
[서버만들기] 부팅 USB를 사용해 리눅스 설치 (우분투 설치) ( 1 / 2 ) (0) | 2024.03.22 |